@RequestMapping
어떠한 메소드를 지정하지 않으면 http의 모든 메소드를 허용한다.
Http method 종류
GET, POST, PUT, DELETE, PATCH 등...
GET | 특정한 리소스 가져오도록 요청 |
오직 데이터를 받기만 함 | |
캐싱 사용 가능 | |
*멱등성(Idempotent) | |
POST | 리소스 생성 및 수정 요청 |
요청 바디에 데이터 포함 | |
캐싱 사용 불가능 | |
PUT | 특정 리소스를 현재 메시지의 값으로 생성하거나 만약 존재한다면 기존 리소스 덮어쓰기 |
Post와의 차이 POST의 URI는 보내는 데이터를 처리할 리소스 PUT 의 URI는 보내는 데이터에 해당하는 리소스 -> PUT은 리소스의 위치를 알고 URI를 지정해야 한다. |
|
멱등성(Idempotent) | |
PATCH | 리소스를 부분적으로 변경 |
DELETE | 특정 리소스 삭제 |
멱등성(Idempotent) | |
기타 메소드 | |
HEAD | 요청 바디를 제외하고 반환 (GET과 비슷) |
OPTIONS | 해당 리소스 통신 설정하는데 사용 |
CONNECT | 해당 리소스로 식별되는 서버에 대한 터널 설정 |
TRACE | 해당 리소스에 대한 경로의 메시지 루프백 테스트 수행 |
*연산을 여러 번 적용하더라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.
실제로는 @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보다 각 http method에 따른 어노테이션을 사용한다.
@GetMapping, @PostMapping, @PutMapping, @PatchMapping, @DeleteMapping
'Study > 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 Handler Method(ResponseEntity) (0) | 2021.09.12 |
---|---|
[Spring] @ModelAttribute (0) | 2021.09.08 |
[Spring] Spring IoC Container 그리고 Bean (0) | 2021.08.29 |
[Spring] Dispatcher Servlet (0) | 2021.08.24 |
[Spring] @RequestMapping (0) | 2021.08.19 |